반응형 javascript6 [JavaScript | Deep Dive] 01. 프로그래밍이란? 01. 프로그래밍 1. 프로그래밍이란? 프로그래밍은 컴퓨터에게 실행을 요구하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으로, 0과 1밖에 알지 못 하는 컴퓨터가 실행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하고 상세하게 요구사항을 설명하는 작업이다. 요구사항을 설명하기 위해 요구사항(문제)를 이해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며 단순하게 분해하고 자료를 정리하고 구분해야 하며 순서에 맞게 배열하여야 한다. 또한 컴퓨터와 사람의 사고, 인지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컴퓨터의 관점에서 문제를 사고하고 해결 과제를 작은 단위로 분해하고 패턴화해서 추출하여야 한다. 1.2 프로그래밍 언어 문제해결의 주체인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인 기계어로 명령어를 전달해야 하는데, 이런 기계어를 직접 명령하는 것은 어려우니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약속된 구문(Synta.. 2023. 1. 9. 자바스크립트(JS) - this 키워드 this 키워드 this 키워드 메서드에 있는 객체를 가리킬 때 this 키워드를 사용한다. const cat = { name: "hwan", color: "grey", breed: "scottish fold", meow() { console.log(`${this.name} says MEOWWWW`); }, }; 위에서는 cat이라는 객체 전체를 가리킨다. 그러나 항상 this가 해당 객체를 가리키진 않는다 → this 값이 바뀔 수 있다. 사용된 함수의 호출 컨텍스트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 ⇒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에 달려있다. 메서드에 **this.**특성을 쓰면 이 메서드가 정의하는 객체를 가리키게 된다. 아래의 코드에서 meow2에서 this는 cat을 가리키지 않는다. → 호출 컨텍스트의 차이 ⇒.. 2023. 1. 4. 자바스크립트(JS) - 변수(value) 변수 변수 명명 띄어쓰기(공백)가 있으면 안 된다. 첫 문자가 숫자가 와서는 안 된다. 첫 문자는 소문자로 작성한다. 카멜**케이스(Camel case)**로 작성한다. 불리언 변수의 경우 **‘is’**로 시작한다. isTrue; 한 글자 변수는 되도록 피한다. 짧게 보다는 의미있는 변수를 선언한다. Boolean- true, false 는 소문자로 작성한다. 다른 언어와 달리 자바스크립트 Boolean 변수는 다른 값도 저장이 가능하다 자바스크립트는 변수에 대한 타입 제한이 없다. Const 선언 일반 변수 → 변수의 값을 변경할 수 없음. 배열이나 객체 → 참조이므로, 안의 값들은 변경이 가능하나 참조된 메모리 주소를 변경할 수 없도록 함. 객체 리터럴 객체로 만드는 모든 키들은 문자열로 변환된다... 2022. 8. 20. 웹 / 제이쿼리(jQuery)란 무엇인가/유용한공부사이트/함께해보는예제/쉬운설명/ w3schools 다음은 자바스크립트보다 더욱 간결하게 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제이쿼리(jQuery)'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jQuery 란 무엇인가? 제이쿼리는 '경량의 JavaScript 라이브러리'라고도 한다. 기존과 다른 특별한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자바스크립트를 웹에서 '훨씬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jQuery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로는 길게 작성해야 하는 작업을 한 줄의 코드로 호출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많은 복잡한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jQuery는 다른 사람이 써놓은 자바스크립트를 '가져와서(임포트)'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jQuery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태그 사이에 아래 코드를 복사 붙여넣기 해주면 완료이다. 매우 간단하다. jQuery 기본 구문.. 2021. 5. 16. HTML/CSS/JavaScript를 개발하는 사람이라면 무조건 알아야 하는 사이트+사용법+자세한설명 내가 하던 웹 공부는 책이나 유튜브 강의가 전부였다. 책이 안내해주는 대로, 유튜버가 말하는 대로만 안내해주고 나온 대로만 하다보니 모르는 내용이 나오면 그냥 "아~ 이렇게 사용하는구나"하고 암기식으로 외우고만 넘어갔다. 어떠한 함수가 나오면 여기에는 어떤 input값이 들어가야 하고, 어떠한 형식으로 써야 하고, 정확히 어떤 기능을 활용하고 싶을 때 사용해야 하는지를 몰랐다. 그러다가 Google에 모르는 내용을 검색을 하고 난 이후로 나의 웹 공부 스타일은 물론 지금까지 무엇을 공부했나 싶었다. 책과 강의를 보며 끌려다니는 것이 아니라 궁금하거나 모르는 내용에 대한 호기심이 생기면 바로 찾아보고, 더욱 정확하게 알게 되고, 필요할 때 사용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HTML / CSS / JavaScr.. 2021. 5. 16. 웹 / '제대로 된' 웹 공부를 하고자 한다 이전부터 HTML을 공부를 해왔었다. 그런데 그 공부가 깨작깨작 겉핥기만 할 뿐 제대로된 공부가 아니었음을 최근에서야 깨달았다. 그 이유는 어떠한 홈페이지에 대한 구상은 머릿 속에 떠올리는데, 그것을 개발 언어로 표현을 못 하는 것이었다. 웹 언어의 어떤 기능을 써야 하고 어떤 것을 우선적으로 작성하는지를 하나도 모르는 것이었다. 이제 제대로된 공부를 시작해보려고 한다. 모르는 것은 무조건 찾아보면서 모르고 넘어가지 말자. 인터넷 시대에서 구글링으로 안 나오는 것이 없는데 모르고 넘어갈 필요가 없는 것이다! HTML과 세트로 사용되는 CSS, JavaScript도 함께 공부하고자 한다. 그 다짐이 작심삼일이 되지 않도록 개발일지도 함께 써보고자 한다. 아자아자 화이팅 !! 2021. 5.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