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업(Startups)

대학생창업/ 바로 창업을 추천하지 않는 이유 / 대학생 때 창업한다면 / 당뇨관리서비스 창업, 반려동물 등록관리 서비스 창업

by 하루IT 2021. 6. 24.
반응형

해당 영상과 아무런 관계가 없으며,

단지 창업에 대한 공부를 하기 위해

정리하는 저만의 노트 수준입니다ㅠㅠ.. 

 

관심있는 분들은 같이 공부해보죠 ! 

 

'창업을 생각하는 대학생이라면 꼭 봐야할 영상'이라는 

조금 선정적인 제목에 이끌려 보게 되었습니다.



페오펫 창업자 최현일 대표



학생 창업은 시행착오가 되게 많은 것 같아요.

 

그래도 시행착오가 많은 것 만큼

좀 더 빨리

주도적으로 자기가 할 수 있는 것들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장단점이 다 있는 것 같거든요

 

자본이 없는 게 학생의 입장에서 제일 큰 담점이었던 것 같아요.


저는 학창시절로 돌아가면,

먼저 창업을 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봐요.

 

프로세스화 되어 있고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에서 한 번 경험

하고 나서 창업을 하는 거랑은 정말 완전히 다르다고 생각하거든요.


처음에 우버에 들어가서 일했던 짧은 경험,

사실 그때 인턴이어서 풀타임도 아니고 반나절 정도 일하는 정도였거든요.

 

근데 그 경험이 제가 어떻게 스타트업을 만들어내고

운영해야 된다는 것에 많이 힌트를 얻어서

그때부터 제가 시행착오가 많이 줄었거든요.

 

학생 창업 때는 그것을 느끼기 전까지 삽질?이라고 해야 하나

그런 것들이 너무 긴 것 같아요. 

 

그래서 아무리 창업 경력이 오래 됐다고 하더라도

성과와 비례하지 않는다.

 

잘 되는 어떤 프로세스나 잘 된 프레임 워크를 가진 상태에서 하는 게 중요하지,

 

그래서 학생 창업은 오히려 저는 요즘 시대는 워낙 기술력이 보편화 되고 진입 장벽이 낮기 때문에

한 번 시장에 들어갔을 때 빨리 치고 스케일업을 해야 하는 상황 속에서는

 

학생 창업에서 느릿느릿하게 가는 것 보다는 오히려 학생 스타트업에 취업을 해서

거기서 좋은 프레임워크를 배우고 나와서 창업하는 구조가 더 좋지 않나 생각을 해요.


창업자는 항상 누구보다 빠르게 성장을 해야하기 때문에

어떻게 빨리 성장하는

그런 메커니즘을 잘 알아야 한다고 생각을 해요.

 

특히 학생 창업이면 훨씬 더 그렇죠

 

근데 사실은 창업자가 가장 빨리 성장하는 방법은 

뛰어난 성공 경험을 만들어내 본 사람들의 인사이트와 경험을

빠르게 자기화 시켜서 우리 사업에 적용을 시키는 일이라고 생각을 하는데,

 

그러면 창업자는 더 뛰어난 창업자를 만나야 해요.

 

그런데 더 뛰어난 창업자는 바빠요. 만나주지 않아요.

그러면 만나주게끔 하는 어필할 것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그렇게 했을 때 연락에 대한 전환율을 올리기 위해서는 

어떤 내 철학이나, 내가 하고 있는 일들에서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해서 불리는 습관을

만들어 놓는 게 사업을 적은 비용으로 빨리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하나의 팁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닥터다이어리의 창업자 송제윤 대표


대학생 때 창업을 했을 때,

 

실수를 했을 때 누가 욕을 하지 않아요.

 

얼마든지 도전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 것 같고요.

 

창업을 하게 되면 여러가지 비용들이 굉장히 많이 들기 마련인데

팀장으로서 펀딩을 해온다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것 같아요.

 

또한

 

해결하는 방법이나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굉장히 강해야 되는 것 같아요.

이 부분을 사실 리더가 책임져 주지 않으면 팀 전체가 무너지는 경우를

학생 창업 단계에서 굉장히 많이 봐왔던 것 같아요.


학생 창업이 사실 자본이 없기 때문에 굉장히 거창한 걸 하려고 하면 

저는 안 된다고 생각을 해요.

 

 저도 처음에는 플랫폼 쪽으로 하려고 했는데

플랫폼은 많은 분들이 알겠지만

막대한 자본을 가지고 막대한 광고를 해서 막대한 트래픽을 얻어내야만 가능한 시나리오인 것 같아요

 

그런데 많은 학생 창업자들이

고객들이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고 있거나 시장이 굉장히 방대한 것을 중심으로

타겟팅해서 하는 경우들이 많이 있는 것 같아요.

 

시작은 정말 작게, 버티컬하게 특수한 고객들을 위한 서비스를 시도해보고

거기서 의미있는 데이터, 의미있는 비즈니스를 만든 다음에 그걸 확장하는게 

훨씬 마케팅적으로나 비용적으로 훨씬 도움이 될 것이라고 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