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Develop)/깃(Git)_버전관리

깃(Git) 사용법(1) / 리눅스 명령어 익히기 / vim 기본 편집기 / bash 오류 해결 / 깃 사용자 정보 설정

by 왁왁s 2021. 12. 26.

깃을 처음 사용해보는 사람이라면, 우선 환경을 설정하고 기본 명령어들을 숙지해야 한다.

 

깃을 처음 다운로드 받았을 때

먼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그 이유는 깃의 버전을 저장할 때마다 

해당 버전을 만든 사용자 정보도 함께 저장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같이 사용자 정보를 설정해보자.


깃에 사용자 정보를 설정할 때는

'config' 명령어

를 사용한다.

 

아래와 같이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사용자 이메일"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global 옵션은 현재 컴퓨터에 있는

모든 저장소에서


깃을 사용하기 위한 명령은 리눅스 명령과 같다.

리눅스를 다룰 줄 알면 깃도 간편히 다룰 수 있다!

 

그러면 간단한 리눅스 명령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우선 

'디렉터리(directory)'라는 개념을 알아야 하는데,

윈도우 탐색기에서 흔히 '폴더(folder)'라고 부른다.

 

디렉터리의 위치를 이리저리 옮겨다니며

필요한 파일들을 실행하고 수정을 해야하기 때문에 관련 명령어를 알아야 한다.


현재 디렉터리 살펴보기

'pwd' 명령어 

pwd 명령어는 패스워드로 착각할 수 있지만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줄임말이다.

 

[ 현재 위치의 경로를 나타낸다. ]


'ls' 명령어 

ls는 'list'의 줄임말이다.

 

[ 현재 디렉터리에 어떤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있는지 확인한다. ]

 

 

추가적으로 

리눅스 명령에는 옵션(Option)이 있어

붙임표(-)를 붙이고 원하는 옵션을 함께 입력하면 

추가적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ls 명령 옵션으로는

-a : 숨김 파일과 디렉터리도 함께 표시

-l : 파일이나 디렉터리 상세 정보 함께 표시

-r : 파일 정렬 순서를 거꾸로 바꾸어 표시

-t : 작성 시간 순으로 (내림차순) 표시


그러면 디렉터리를 확인을 하고

다른 디렉터리로 이동을 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를 알아보자.

 

'cd' 명령어

'change directory'의 줄임말이다.

 

[ 터미널 창에서 디렉터리 사이를 이동한다. ]

 

cd Desktop을 입력하면

노란색 글씨로 현재 있는 디렉터리가

~/Desktop으로 이동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 물결 표시는 무엇일까?

 

이는 디렉터리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ls 명령 옵션으로는

~ : 현재 접속 중인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를 가리킨다. 

홈 디렉터리의 경로는 'c/Users/사용자 이름'이다.

./ :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작업 중인 디렉터리이다.

../ : 현재 디렉터리의 상위 디렉터리이다.


터미널 창에서 디렉터리를

만들고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mkdir' 명령어

mkdir은 'make directory'의 줄임말이다.

 

[ 현재 디렉터리 안에 하위 디렉터리를 만든다. ]

 

우선 디렉터리를 생성하기 위해 

아무 디렉터리를 들어갈 것인데, 내 컴퓨터에 있는

My Documents 디렉터리에 이동 후 생성을 할 것이다.

 

그런데 이때

 

cd My Documents 라는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 bash: cd: too many arguments ' 라는

오류가 뜨면서 cd 명령어가 실행되지 않는다.

 

이는 디렉터리 명에 스페이스바 띄어쓰기가 포함되어 있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온다.

그럴 때는 ' ' (작은 따옴표)나 " " (큰 따옴표)를

붙여서 cd 명령어를 입력하면 실행이 된다.



이제 'mkdir ex'를 입력하고

ls를 통해 디렉터리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실제로 '내 문서' 폴더에도

git bash에서 생성한 디렉터리가 만들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이렇게 생성한 디렉터리를 어떻게 삭제할까?

그럴 때는 rm 명령어를 사용한다.

'rm 명령어'

'remove'의 줄임말이다.

 

[ -r 옵션을 붙이면 디렉터리 안에 있는 하위 디렉터리와 파일까지 함께 삭제된다. ]

 

여기서 주의해야할 것은

삭제할 디렉터리의 '상위 디렉터리'에서 rm명령을 실행해야 한다.


'vim' 명령어

[ 명령어 뒤에 입력한 파일을 여는 명령어 ]

파일이 존재하면 해당 파일을 열고, 없다면 새로 파일이 만들어진다.

 

vim ex.txt를 입력하면

 ex.txt 파일을 만들고 파일을 연다.


ex.txt를 열었을 때의 화면을 윈도우의 메모장과 같은 기능을 하는,

리눅스의 '빔(Vim)' 기본 편집기이다.

 

vim에서는 입력하기 위해 입력모드로 들어가야 하는데

[i]를 눌러 입력모드(입력, 수정 등)로 변환해준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INSERT'로 변환되고

키보드를 통해 텍스트 입력이 가능하다.

 

해당 입력모드를 나가려면 

[esc]키를 눌러 ex모드(저장, 종료 등)로 간다.


그리고 

 

문서를 작성 후 저장을 해줘야 하는데 

저장을 하기 위해서는 입력모드 -> ex모드로 나가서

명령어를 입력해주어야 한다.

 

:w 또는 :write -> 편집 중이던 문서를 저장한다.

:q 또는 :quit -> 편집기를 종료한다.

:wq -> 편집 중이던 문서를 저장하고 종료한다. 파일 이름을 함께 입력하면 그 이름으로 저장한다.

:q! -> 문서를 저장하지 않고 편집기를 종료한다. 확장자가 .swp인 임시 파일이 생긴다.

댓글